#9 출력(3) - 형식 지정자와 출력하기
%d, %c같은 형식 지정자를 이용해서 출력해봅시다
Table Of Contents
이전 글에서는 입력을 받아서 저장 공간에 저장하는 방법을 공부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입력받은 데이터가 잘 저장되었는지도 확인해봐야겠죠?
아래 코드를 소스 파일에 입력하고 실행해 보세요. 검은 콘솔 창이 나타난다면 원하는 정수를 하나 입력하고 엔터키를 눌러주세요. 엔터키를 누르면 입력한 정수가 다시 출력되나요?
실행하는 방법을 잊었다면 여기를 다시 보고 실행해주세요.
#include <stdio.h> int main(void) { int number; scanf("%d", &number); printf("%d", number); return 0; }
number
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코드에 number
를 출력하는 한 줄이 추가되었습니다.
printf()
함수 역시 형식지정자와 함께 사용할 수 있습니다.
-
printf(”%d”, print할 내용);
은 콤마 뒤의 내용을 int형으로 출력할 수 있습니다. -
printf(”%f”, print할 내용;
은 콤마 뒤의 내용을 float형으로 출력할 수 있습니다. -
printf(”%lf”, print할 내용);
은 콤마 뒤의 내용을 double형으로 출력할 수 있습니다. -
printf(”%c”, print할 내용);
은 콤마 뒤의 내용을 char형으로 출력할 수 있습니다.
#include <stdio.h> int main(void) { printf("%d\n", 1); printf("%f\n", 3.14); printf("%lf\n", 2.71); printf("%c\n", 'a'); return 0; }
1 3.140000 2.710000 a
위 코드를 실행해 보세요. 오른쪽처럼 결과가 나오나요?
같은 방법으로, 콤마 뒤에 변수를 넣어서 변수의 내용을 출력할 수도 있습니다.
#include <stdio.h> int main(void) { int a = 1; float b = 3.14; double c = 2.71; char d = 'a'; printf("%d\n", a); printf("%f\n", b); printf("%lf\n", c); printf("%c\n", 'd); return 0; }
1 3.140000 2.710000 a
이번에도 똑같이 결과가 나왔나요?
형식 지정자는 문자열의 원하는 위치로 옮겨서 쓸 수 있습니다.
int a = 5;
가 선언되었다고 할 때, “a에는 5가 저장되어 있습니다”라는 문장을 출력해봅시다.
#include <stdio.h> int main(void) { int a = 5; printf("a에는 %d가 저장되어 있습니다", a); return 0; }
a에는 5가 저장되어 있습니다
이 프로그램을 실행시켜도 원하는 결과가 잘 나왔나요?
이렇게 문자열의 원하는 위치로 %d, %c 등을 배치해서 출력할 수 있습니다.